성명 |
직급 |
전화번호 |
업무 |
박우석 |
농식품인력개발원장 |
290-6420 |
◦ 농식품인력개발원 업무총괄 |
김홍경 |
농업인교육기획팀장 |
290-6403 |
◦ 농업인교육기획업무 총괄 |
양완섭 |
주무관 |
290-6404 |
◦ 공사계약 및 집행관리
◦ 난방관리, 숙소관리
◦ 위험물, 청사 환경, 정원, 상하수도 위생 관리
◦ 자가용 전기설비 운영․관리
◦ 소방계획 및 설비관리
◦ 공유재산 관리 |
김무연 |
주무관 |
290-6405 |
◦ 인사관리(일반직 및 계약직 등)
◦ 조직진단 및 성과관리
◦ 의회 및 집행부 업무보고
◦ 교육운영 계획 총괄
◦ 홍보·감사 업무
◦ 본원 정보시스템 운영․관리(홈페이지 등)
◦ 농업기후변화대응교육센터 건립 추진
◦ 농업인 정보화교육(‘올바른먹거리’ 교육 포함) |
최영은 |
주무관 |
290-6408 |
◦ 예산 업무
◦ 회계, 일상경비 및 세입세출외 현금 운영․관리
◦ 급여 운영․관리
◦ 정규직 및 기타 사회보험, 국세 관리
◦ 초과근무수당 운영․관리 |
정현명 |
주무관 |
290-6407 |
◦ 차량관리(운행, 배차, 정비 등)
◦ 일ㆍ숙직 편성
◦ 물품관리
◦ 월별 교육생 추천
◦ 일반서무(주간, 월간 업무 등)
◦ 식당 운영 |
양재섭 |
주무관 |
290-6409 |
◦ 청사 내·외부 관리 및 환경정비 |
박민유 |
주무관 |
290-6431 |
◦ 청사 청소 및 환경정비 |
김성수 |
주무관 |
290-6431 |
◦ 청사 청소 및 환경정비 |
김향식 |
스마트팜팀장 |
290-6830 |
◦ 스마트팜팀 업무총괄 |
허성근 |
주무관 |
290-6831 |
◦ 스마트팜 혁신밸리 운영 총괄 기획
◦ 농식품부, 김제시, 빅테이터센터, 농업기술진흥원, 농정원 등 업무협의
◦ 중앙부처 및 외부기관 대응(국회, 도의회 등 포함)
◦ 4개지역(전북, 전남, 경북, 경남) 스마트팜 혁신밸리 상호 업무협력 추진
◦ 스마트팜 혁신밸리 협의체 운영
◦ 예산, 공약사업 및 성과관리
◦ 스마트팜 혁신밸리 창업·실증 서비스 지원
◦ 스마트팜 청년보육 및 기술혁신 서비스 지원
◦ 창업보육 청년창업농 정착지원 및 사후관리
◦ 실증기업, 연구기관 유치 및 지원 |
박길준 |
주무관 |
290-6434 |
◦ 스마트농업교육센터, JATC 업무 총괄
◦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사업 업무 관리
- 교육 계획 수립 및 진행
- 교육형 실습, 경영형 실습 계획 수립, 진행
- 경영형 실습농장(자가영농) 점검
◦ JATC 원예작물 재배 및 시설 관리
◦ 작물재배 실습기자재 운용 및 관리 교육 추진
◦ 스마트팜 시설원예 컨설팅 및 실용농업 강의 |
최연규 |
주무관 |
290-6415 |
◦ 스마트팜 혁신밸리창업보육(실습농장) 시스템·프로그램 기획
◦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사업 업무관리
◦ JATC, 창업보육센터 온실 시설물 유지관리 총괄
◦ 센터 운영 교육 프로그램 관리
◦ 온실 재배작물 국내외 원예산업 기술정보 수집 및 적용
◦ 스마트팜 시설원예 컨설팅 및 실용농업 강의
|
전용균 |
주무관 |
290-6835 |
◦ 실용농업교육센터 미래인력양성분야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귀농인 시설원예과정 교육 등
◦ 실용농업교육센터 유리 온실 및 교육장 관리
◦ 실용농업교육센터 병해충 예찰 및 방제, 농약 방제 등
◦ 공무직 및 기간제 복무 관리
◦ 첨단기술 공동실습장 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
◦ 스마트팜 시설원예 컨설팅 및 실용농업 강의 |
이창희 |
주무관 |
290-6436 |
◦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사업 업무 관리
- 교육 계획 수립 및 진행
- 교육형 실습, 경영형 실습 계획 수립, 진행
- 경영형 실습농장(자가영농) 점검
◦ 스마트농업교육센터 작물 재배 관리
- 작물별(가지, 토마토, 딸기 등) 재배 계획 수립
- 작물 생육에 따른 환경 관리(온도, 습도, 광 등)
- 작물별 비료 관리 및 양액 제조 등
- 온실 영농자재 구입 및 관리
- 온실 농산물 판매
◦ 작물재배 실습기자재 운용 및 관리 교육 추진
◦ 스마트팜 시설원예 컨설팅 및 실용농업 강의 |
최영국 |
주무관 |
290-6836 |
◦ 실용농업교육센터 과학영농분야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품목별(고추, 딸기, 토마토 등) 재배과정 교육,
핵심과정(양액조성, 병해충, 토양분석 등) 교육
◦ 실용농업교육센터 작물 재배
- 작물별(딸기, 토마토, 파프리카 등) 재배 계획 수립
- 작물 생육에 따른 환경 관리(온도, 습도, 광 등)
- 작물별 비료 관리 및 양액 제조 등
- 온실 영농자재 구입 및 관리
- 작물 재배에 따른 농산물 생산 및 판매, 세입처리
◦ 작물재배 실습기자재 운용 및 관리 교육 추진
◦ 유리 온실 내 병해충 관리 및 양액 관리
◦ 실용농업교육센터 일반 서무관리
◦ 스마트팜 시설원예 컨설팅 및 실용농업 강의 |
이강녕 |
주무관 |
290-6834 |
◦ 스마트농업교육센터 전기 안전 관리
◦ 스마트농업교육센터 시설 관리
- 강의실 및 실습실 교육자재 관리
- 스마트농업교육센터 환경 미화 관리
- 재택, 일직 등 근무 편성
◦ 공무직 및 기간제 복무 관리
◦ 스마트팜팀 서무 |
정영자 |
주무관 |
290-6439 |
◦ 스마트농업교육센터 품목별 양액조성 및 배양액 EC, PH측정 및 입력
◦ 온실작물 재배 영농작업(파종→정식→적엽→적과→수확)
◦ 시설원예 교육용 식물연구 및 작물재배 데이터 입력
◦ 시설원예 실습교육 보조업무
◦ 온실 및 교육센터 환경 미화 관리 |
김춘자 |
주무관 |
290-6439 |
◦ 실용농업교육센터 품목별 양액조성 및 배양액 EC, PH측정 및 입력
◦ 온실작물 재배 영농작업(파종→정식→적엽→적과→수확)
◦ 시설원예 교육용 식물연구 및 작물재배 데이터 입력
◦ 시설원예 실습교육 보조 및 실험실 관리
◦ 온실 및 교육센터 환경 미화 관리 |
임순정 |
주무관 |
290-6439 |
◦ 실용농업교육센터 작물 병해충 예찰 및 방제(농약 살포)
◦ 온실작물 재배 영농작업(파종→정식→적엽→적과→수확)
◦ 시설원예 교육용 식물연구 및 작 물재배 데이터 입력
◦ 시설원예 실습교육 보조 및 실험실 관리
◦ 온실 및 교육센터 환경 미화 관리 |
이후석 |
주무관 |
290-6427 |
◦ 스마트농업교육센터 작물 병해충 예찰 및 방제(농약 살포)
◦ 온실작물 재배 영농작업(파종→정식→적엽→적과→수확)
◦ 시설원예 교육용 식물연구 및 작물재배 데이터 입력
◦ 온실 및 교육센터 환경 미화 관리
◦ 온실 수리 및 농업용 자재 관리 |
김정선 |
주무관 |
290-6428 |
◦ 스마트농업교육센터 작물 병해충 예찰 및 방제(농약 살포)
◦ 온실작물 재배 영농작업(파종→정식→적엽→적과→수확)
◦ 시설원예 교육용 식물연구 및 작물재배 데이터 입력
◦ 시설원예 실습교육 보조업무
◦ 온실 및 교육센터 환경 미화 관리 |
이삼열 |
실용농업교육팀장 |
290-6406 |
◦ 실용농업교육팀 업무 총괄
(농산업기계, 농업마이스터대학)
◦ 농업마이스터대학 학사운영 위원회 구성 및 운영
◦ BSC 및 성과관리 등
◦ 실용농업교육 자료수집 및 연구
(과정별 설문조사 분석 및 개선방안 마련 등)
◦ 수도작, 딸기 전공 교육운영에 따른 업무 처리
- 연도별, 학기별, 주별 교육계획 수립
- 강사 관리, 교재 선정, 현장학습지 선정ㆍ인솔
- 교육 준비 및 진행, 결과 보고
|
조민용 |
주무관 |
290-6413 |
◦ 농업산업기계 교육전반
◦ 농산업기계 교육과정 연간 교육계획 수립
◦ 농산업기계 교육추진 및 자료수집 교육연구
◦ 소형건설기계면허과정 교육계획 수립 및 추진
◦ 농산업기계 전과정 안전교육
◦ 농업기계 순회교육
|
박수용 |
주무관 |
290-6414 |
◦농산업기계 소관 일반서무
- 주간계획, 주간행사계획, 월중업무 계획 등 원 취합자료
◦ 농산업기계 교육추진 및 자료수집 교육연구
◦ 기계화영농사교육 교육계획 수립 및 추진
◦ 소형농기계과정 교육계획 수립 및 추진
◦ 농업용 로더운전 교육계획 수립 및 추진
◦ 농업기계 순회교육 계획수립 및 추진
◦ 농업기계 교육훈련장비 관리 및 구입요구
◦ 농산업기계 교육 입교자 및 강사수당 관리 |
김정훈 |
주무관 |
290-6833 |
◦ 농기계 교육추진 및 자료수집 교육연구
◦ 이앙기, 콤바인, 트랙터, 용접과정 교육계획 수립 및 추진
◦ 귀농인 농업기계과정 교육계획 수립 및 추진
◦ 농산업기계교육 전 과정 설문 및 교육 결과보고
◦ 농산업기계 소모품․유류 대장관리
◦ 농산업기계교육 교육생 급식비 관리
◦ 농산업기계 교육 수료자 관리
◦ 농업기계 순회교육
◦ 마이스터 전공별 농기계 안전관리 교육 진행
|
방재호 |
주무관 |
290-6425 |
◦ 14개 전공 교육과정 행정·운영 전반 총괄
- 농식품부, 농정원 요구․행정사항 총괄처리
◦ 농업마이스터대학 학사일정 계획 수립 및 추진
- 신입생 모집, 입학식 및 졸업식 등 행사추진
- 졸업생, 농업마이스터 지정자 보수교육 등 사후관리
◦ 농업마이스터대학 예산·회계 업무 전반 총괄
- 교육운영 및 사무운영 관련 예산 지출
- 예산 지출 총괄 취합 및 예산 집행 정리 등
◦ 주차별 교육계획 및 교육 결과 보고
◦ 고추, 토마토 전공 교육운영에 따른 업무 처리
- 연도별, 학기별, 주별 교육계획 수립
- 강사 관리, 교재 선정, 현장학습지 선정ㆍ인솔
- 교육 준비 및 진행, 결과 보고
|
심민오 |
주무관 |
290-6402 |
◦ 농업마이스터대학 사업계획서 및 운영평가 수립
◦ 농업마이스터대학 캠퍼스 사업비 및 교육운영 지도․점검
- e나라도움 시스템 관리 및 교육계획 등 검토․승인
◦ 농업마이스터대학 유공자 표창 수여 등
◦ 농업마이스터대학 소관 일반서무
- 주간계획, 주간행사계획, 월중업무 계획 등 자료
◦ 블루베리, 멜론·수박 전공 교육운영에 따른 업무 처리
- 연도별, 학기별, 주별 교육계획 수립
- 강사 관리, 교재 선정, 현장학습지 선정ㆍ인솔
- 교육 준비 및 진행, 결과 보고 |
최한뫼 |
주무관 |
- |
◦ 근무지정(파견) `22. 2. 15. ~ `22. 4. 30. |
진준호 |
유통가공교육팀장 |
290-6411 |
◦ 유통가공교육팀 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 총괄
(미래인력양성, 가공, 유통, 관광, 귀농귀촌, 축산 과정)
◦ 유통가공교육팀 연간 교육계획 수립
◦ 유통가공교육팀 자료 수집 및 연구
◦ 미래인력양성분야 교육 프로그램 운영
◦ 축산분야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한우, 젖소, 양계, 흑염소, 축산환경컨설팅 등 |
한두원 |
주무관 |
290-6418 |
◦ 농식품 가공분야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식품가공기능사, 전통주제조, 과일발효주제조,
과채류가공, 장류제조 등
◦ 삼락농정 미래인력 양성분야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GAP 전문인력양성, 지역대학연계 농식품 창업
◦ 농식품 유통분야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로컬푸드 운영자 역량강화
◦ 농식품가공교육관 실습장비 운영
- 가공실, 품질분석 실습실, 패키징 실습실 등
◦ 농식품가공 강의 및 기술컨설팅
◦ 유통가공교육팀 의회 업무 |
송주창 |
주무관 |
290-6417 |
◦ 농식품 유통분야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농산물유통채널, 사회적기업, 라이브커머스, 인스타그램,
유투브 마케팅, 법인설립 절차 등
◦ 농촌체험 관광분야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치유농업활성화, 농어촌체험지도사 등
◦ 미래인력 양성분야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농산어촌청년리더, 기후변화대응 신소득작목탐색,
후계농업인육성, 귀농창업, 농생명 진로소개 등
◦ 농식품 경영·마케팅, 영농창업·정책·유통 강의·자문·컨설팅
- 농산물유통, 농업회계, 법인체경영, 청년창업농육성,
6차산업화, 농산업 비즈니스 전략 등
◦ 유통가공교육팀 일반 서무(예산 등) |
강나겸 |
주무관 |
290-6419 |
◦ 귀농귀촌분야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창업형 귀농, 승계형 귀농, 전원생활형 귀촌,
귀농귀촌 실무자 역량강화, 부모가 받는 자녀 영농승계 등
◦ 미래인력 양성분야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청년창업 아이템 발굴, 친환경농업 입문,
농산물 안전성 강화 등
◦ 농식품 유통분야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농식품기업 원가계산 및 분석실무, 공모사업계획서 작성,
브랜드·패키지디자인, 농업법인 회계실무 등
◦ 강사풀 관리 |
김자인 |
주무관 |
290-6435 |
◦ 미래인력 양성분야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귀농인 농식품가공입문, 마을기업종사자 역량강화,
올바른 농식품 소비문화 정착교육,
통합마케팅조직 역량강화 등
◦ 농식품 가공분야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푸드트렌드, 소규모해썹, 식품표시기준,
영업자 식품법령 인식교육, 농식품 포장용기 개발,
소스개발 창업자과정, 약용식물의 이해,
제과제빵, 쌀가공 과정 등
◦ 축산분야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
- 곤충사육입문, 양봉사육관리 기초·심화 등
◦ 농식품가공 기자재 관리 |
|